국민재난안전교육단중앙회

든든한 국민의 안전지킴이가 되겠습니다.

게시판
자유게시판
Menu

2025년 신년교례회 1월 20일 월요일 오후 5시

(사)국민재난안전교육단중앙회2025년 신년회 개최 이후 결과 보고합니다. 1.시간 : 2025년01월 20일(월요일)ㆍ오후 5시.2. 장소 :(사)국민재난안전교육단중앙회 사무실.1월20일 월례회(신년교례회)참석자는박수부 외 34명 참석하였습니다.회원님께서적극적으로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설 명절을 맞이하여 박수부 총재님께서 아래와 같은 인사 말씀을 전하십니다. 시간은 총알처럼 빠르게 흘러 지난 한 해를 되돌아보고,

12월 16일 세번째 일욜 아침 부터눈이 내려도

12월 16일 세번째 일욜 아침 부터눈이 내려도 (사) 국민재난안전교육단중앙회 "안전복지서비스 봉사단"은 전상철 명강사와 함께 현풍 경로당으로 달려 갑니다.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너무나 각박하고 나날이 늘어가는 노인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전성철 안전교육 전문강사는안전교육 및 보행 시 주의점을 등을 교육을 실시하였다이외에도 화재 시 닥칠 수 있는 극한 상황에 따라 어르신 눈높이에 맞게 알기 싶도록 화재 대

최길영 대구시 교통연수원장 을 만나다

12월 22일 오전에 최길영 대구시교통연수원장 을 만나다.바쁘신 가운데도 반갑게 맞이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제6대 대구광역시의회 경제교통부위원장제7대 대구광역시의회 후반기 부의장을 역임하신 멋장이 연수원장님 화이팅 입니다.

대구지방경찰청 제1부장 경무관 배봉길님을 방문하다.

12월 18일 아름다운 민중의 지팡이 대구지방경찰청 제1부장 경무관 배봉길님을 방문하다.저와 재무이사 정정자는 배봉길 경무관님과 교통안전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다.바쁘신 가운데도 친절하게 반갑게 맞이하여 주신 배봉길 경무관님은 온화하고 시골에 아저씨 같은 모습을 뵙게되니아름다운 민중의 지팡이 경찰의 이미지를 볼 수 있었습니다.235만 대구의 시민의 안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자노

칠곡군-(사)국민재난안전교육단 중앙회, 업무협약 체결

칠곡군, 선진안전문화 정착에 힘써 백두산기자 | 기사입력 2018/09/13 [04:12] [다경뉴스=백두산기자]칠곡군(군수 백선기)과 (사)국민재난안전교육단 중앙회(총재 박수부)는 11일 칠곡군청에서 선진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민재난안전교육단 안전문화업무협약 © 백두산기자이날 협약식은 최근 우리사회에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추석 명절 인사말씀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 안전 조심하세요.

조상을 기억하는 우리의 전통은 바로 한국인의 힘, 한국의 역사고려말 환단고기 단군세기 태백일사의 저자행존 이암 선생님 왈!! 역사을 잊은 나라는 미래가 없다.지금도 진리 맞아!!! 역사 왜곡해 가르치는 놈들치고 잘된 놈들 없어! 치욕적인 역사에서도 교훈을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내일을 기약할 수 있어! 한국인! 대한민국! 사람이라는게 자랑스럽다. 우리의 기적적인 성공이 우연이었을까? 우리도 완전한건 아니라는거 잘 안다. 그러나 우리는 한 왕조가 들어서면500년 600년 700년 1000년 왕국 거뜬해 왜이래 니들이 따라 올 수나 있

뜨거운 물은 생명온도를 보충한다.

옛날~ 옛날에 위장병이 심하고 피부병이 심한사람이 위장병과 피부병을 고치려고 만방으로 애를 써보았으나 있는 재산을 다 잃고 백약이 무효라서 해결이 안 되어 고생을 하다가 죽으려고 산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산속을 들어갔다가 날이 어두워지고 길을 잃고 말았습니다. 길을 잃어 헤매다 보니 넘어지고 상처가 나고 갈증이 나서 어두움 속에서 물소리가 나는 곳으로 찾아 헤매다가 온천을 만났습니다. 그래서 온천물을 마시고 온천물에서 목욕을 하니 위장병과 피부병이 깨끗하게 치료가 되었다는 전설

질병에 좋은 식품

■ 음식의 맛을 다섯가지로 분류하였다. 그것은 산(酸), 신(辛), 고(苦), 함(鹹), 감(甘) 오미(五味)는 입으로 들어가 위에 저장된다. 그럼으로써 오장(五臟)을 보양한다. 산(酸) - 간(담) 함(鹹) - 신(방광) 신(辛) - 폐(대장) 감(甘) - 비(위) 고(苦) - 심(心, 소장) 1. 신맛- 근육을 조르는 수렴(收斂)작용이 있으므로 설사나 침한(寢汗)등에 매실 따위의 산미가 강한 것 2. 쓴맛(苦味) - 출혈성 질환 설사에 사용 3. 단맛(甘味) - 긴장을